7월 20일 2부 마르다도 행복하려면 | 김종윤 목사 | 2025-07-22 | |||
|
|||||
[성경본문] 누가복음10:38-42절 개역개정38. 그들이 길 갈 때에 예수께서 한 마을에 들어가시매 마르다라 이름하는 한 여자가 자기 집으로 영접하더라 39. 그에게 마리아라 하는 동생이 있어 주의 발치에 앉아 그의 말씀을 듣더니 40. 마르다는 준비하는 일이 많아 마음이 분주한지라 예수께 나아가 이르되 주여 내 동생이 나 혼자 일하게 두는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시나이까 그를 명하사 나를 도와 주라 하소서 41. 주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42. 몇 가지만 하든지 혹은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어떤 의미에서 행복이란 일상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가치이면서 신앙적으로는 쉽게 말하지 못하게 된 말입니다. 행복보다는 거룩을 목표로 해야한다고 하는 식의 말에서처럼 우리는 행복을 우리가 상당한 비중을 두고 추구해야 할 가치라고 여기기도 합니다. 하지만 행복의 문제는 결코 소홀하게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우리가 행복하길 원하시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하나님은 그의 백성을 향하여 “너는 행복한 사람이로다.”라고 하기도 하셨습니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행복의 의미가 과연 무엇인가 하는 것은 따로 생각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지만 분명 하나님은 그의 자녀들이 행복한 삶을 살아가길 원하시는 것입니다. 신앙생활을 왜 하느냐고 묻는 사람에게 우리가 할 수 있는 대답 중의 하나는 행복하기 때문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 준비하는 일이 많아 마음이 분주한지라 – 일과 함께 마음에도 동일한 관심을 기울이십시오
오늘 본문은 교회에서 자주 언급되면서 비교되는 유명한 구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특히 마르다와 마리아의 비교는 일하는 사람과 말씀을 듣는 사람을 대표하는 것으로 여겨져서 나름대로 중요한 의미가 있지만 상당부분 오해가 되고 있습니다. 저는 오늘 본문을 묵상하면서 과연 주님이 말씀하시려고 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생각을 하면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여겨졌던 마르다의 입장에서 살펴보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본문에서 주님이 말씀하시는 주된 대상은 바로 행복하지 못한 마르다였기 때문입니다. 우선 주님은 마르다도 행복하길 원하셨다고 하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습니다. 과연 본문의 마르다는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마르다가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나 혼자 일하게 두는 것을 생각하지 아니하시나이까 – 혼자서 일한다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본문에 따르면 마르다는 처음에는 행복한 모습으로 등장합니다. 그래서 그녀는 예수님 일행을 자기 집으로 영접했습니다. 불편하게 여기거나 마지못해서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점차 시간이 흘러가면서 그녀에게는 안타까운 상황이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갑작스럽게 모신 예수님의 일행을 대접할 준비가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마르다는 준비하는 일이 많아서 분주해지기 시작했습니다. 마음이 분주해지니 자기만 그렇게 혼자서 애쓰는 것처럼 느껴지기 시작했습니다. 일종의 피해의식을 느낀 그녀는 결국 예수님에게까지 자신의 서운한 마음을 이야기하고 맙니다. 행복을 잃어버린 마르다의 모습은 오늘 우리들의 모습과 너무 닮아있다고 생각되지 않으신가요? 과연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 한 가지만이라도 족한 삶을 살아가십시오.
태생적으로 일이 보이고 그런 일을 하면서 즐거움과 가치를 느끼는 사람에게 일을 그만두라고 하는 것은 그다지 좋은 답은 아닙니다. 그렇게 되면 해야 할 일은 도대체 누가 할 수 있다는 말인가요? 그렇다고 마르다가 요구했던 것처럼 발 앞에 앉아있는 마리아를 일어나게 해서 도와주라고 하면 두 사람은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주님은 우선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지 말아야 할 것을 권면하십니다. 왜냐하면 일을 많이 한다고 해서 행복한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몇 가지만 아니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다고 하시면서 행복의 비밀이 일 자체에 있지 않음을 가르치십니다. 마리아뿐만 아니라 마르다의 행복을 위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
댓글 0